728x90
반응형
SMALL
흥분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Factors affecting membrane excitability)
세포외액의 Ca2+은 Na+의 세포막에 대한 투과도를 감소시키므로 세포막에서 stabilizer로 작용한다. 따라서, hypercalcemia 시는 Na+의 투과도가 감소되어 막전위가 과분극 (hyperpolarization)으로 되어 흥분성은 감소하는 반면 hypocalcemia 시는 Na+의 투과도가 증가되어 막전위가 저분극 (hypopolarization)이 되어 흥분성이 증가된다.
Hypokalemia 시는 세포외액의 K+이 감소되면 [K+]o / [K+]i의 비율이 증가되어 막전위가 과분극으로 되어 흥분성이 감소된다. Hyperkalemia 시는 [K+]o / [K+]i의 비율이 감소되어 막전위가 저분극으로 되어 흥분성이 증가된다.
Lidocaine, procaine, 그리고 tetracaine 등 국소 마취제 (local anesthetic)는 직접 Na+ channel이 열리는 것을 억제하여 흥분성을 감소시킨다.
Voltage gating Na+ channel의 개폐에 영향을 미쳐 막전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Inhibitors | binds to outer surface | Tetrodotoxin, saxitoxin |
binds to inner surface | Lidocaine, procaine, tetracaine | |
Activators | Batrachotoxin, veratridine, aconitine, grayanotoxin, sea anemone toxin, scorpion toxin |
728x90
반응형
LIST
'Natural Intelligence > Computational Neuro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putational Neuroscience] 막 흥분성의 변화 (Changes of membrane excitability) (0) | 2022.11.08 |
---|---|
[Computational Neuroscience] 활동 전위 (Action potential) (0) | 2022.10.04 |
[Computational Neuroscience] 신경의 흥분성 (Nerve Excitability) (0) | 2022.09.20 |
[Brian] Example : Spiking model (0) | 2022.02.14 |
[Brian] Introduction to Brian part 3 : Simulations (0) | 202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