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tural Intelligence/Computational Neuroscience

[Computational Neuroscience] 신경의 흥분성 (Nerve Excitability)

by goatlab 2022. 9. 20.
728x90
반응형
SMALL

안정막전위 (Resting Membrane Potential)

 

 

모든 세포는 안정기에서 세포 밖에 비하여 세포 안이 전기적으로 음극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확산 전위 (Diffusion potential)

 

 

K+ 세포 내에 많고 세포밖에는 매우 적다. 세포막이 K+ 통과시키고 다른 이온들은 통과시키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K+ 세포 밖으로 확산하게 되고 결과 세포 밖은 전기적으로 양전기를 띄게 되며 세포 안은 음이온이 결집하여 음전기를 띄게 된다. milliseconds 내에 이러한 전압차이는 K+ 이상 밖으로 확산되지 않게 막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어 정상적인 포유동물의 신경섬유는 세포 안이 -94 millivolts 전압을 가지게 된다.

 

Na+ 세포밖에 많고 세포 안에는 매우 적다. 세포막이 Na+ 통과시키고 다른 이온들은 통과시키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Na+ 세포 안으로 확산하게 되고 결과 세포 안은 전기적으로 양전기를 띄게 되며 세포 밖은 음이온이 결집하여 음전기를 띄게 된다. milliseconds 내에 이러한 전압차이는 Na+ 이상 안으로 확산되지 않게 막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어 정상적인 포유동물의 신경섬유는 세포 안이 +61 millivolts 전압을 가지게 된다.

 

안정막전위의 형성 기전 (Mechanism of resting membrane potential generation)

 

생체 세포막에는가량의 구멍이 있다. K+ 결정 상태에서 직경이 2.66Å이나 물속에서 물분자와 경합해서 되고, Na+ 결정 상태에서 1.96Å이나 물 속에서 된다. Cl- 물 속에서 3.8Å 직경을 가진다. 이들 이온의 크기가 서로 다르므로 세포막에 대한 투과성 (permeability) 서로 다르다. 개구리 골격근에서 Hodgkin Horwicz (1959) K+ Na+ 그리고 Cl- 투과 상수를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PK = 2 X 10-6 cm/sec. PNa = 2 x10-8 cm/sec
Pcl = 4 X 10-6 cm/sec. Pa = 0 (PA 음이온 상태로 세포 내에 있는 단백질과 유기음이온의 투과 상수로 이들의 투과성은 0)
이온 세포 (mM) 세포 (mM)
K+ 155 4
Na+ 12 145
Cl- 4 120
HCO3- 8 27
A- 155 -

 

K+ 세포 안에서 밖으로 농도차이에 따라 세포 밖으로 나가게 되고 Na+ 농도 차이에 따라 세포 안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Na+ 투과도는 K+ 1/100 이므로 K+ 세포막 밖으로 나왔을 Na+ 세포막 밖에 남게 된다. Cl- 투과성은 K+보다 2배나 높으므로 K+보다 2 빠르게 세포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같이 ion들의 투과성이 서로 다르므로 세포막 외면에는 K+ Na+ 모이게 되고 세포막 내면에는 Cl- 모이게 되어서 세포막 밖은 + 荷電하게 되고 세포막 안은 하전하게 되어 막전위가 형성된다. 이렇게 막전위가 형성되면 세포막 밖의 + 하전은 세포 안에만 있는 A- 전기적인 힘으로 당기게 되어 세포막 내면에 집결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세포막 밖은 K+ Na+으로 + 하전하게 되고 세포막 안은 Cl- A-으로하전을 하게 되어서 막전위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같은 ion들의 흐름이 계속되어서 막전위가 증가하게 되면 세포막 안의하전이 증가하게 되므로 K+ 세포막 밖으로 흘러 나가지 못하도록 안에서 K+ 잡아당기는 힘이 증가되어 K+ 흐름이 감소하게 된다. Na+ 세포 안의하전의 증가로 세포 안으로 많이 흘러 들어오게 것이나 K+ 보다 Na+ 투과성은 100 배가 낮으므로 세포 안으로 들어오는 Na+ 양은 매우 적을 것이다. 이렇게 이온의 흐름으로 형성된 막전위의 값은 일정한 값을 가지고 있다. Ion들의 흐름으로 막전위는 형성되고 형성된 막전위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고 있다. 막전위가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이들 이온들의 흐름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IK + INa + ICl = 0 K+ Na+ 그리고 Cl- 흐름으로 막에는 전위가 형성되고 이들 이온의 흐름의 合이 때까지 형성된 전위가 막전위라는 것이다.

 

이온의 평형 (Ionic Equilibrium)

 

생체 세포막은 세포막 안쪽이, 밖이 + 하전 (荷電)하고 있다. 근육세포막 안에는 K+ 155mM, 밖에는 4 mM 가지고 있으므로 K+ 세포막 밖으로 확산해 나갈 것이다. 근육세포막은 – 90 mV 전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밖에 있는 K+ 끄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K+ 농도 차이로 밖으로 나가려는 힘과 세포 안의하전으로 K+ 세포 안으로 끄는 전기적 힘이 같으면 K+ 세포막을 이동할 없게 된다. 이런 상태에 도달하면 K+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한다. 세포막에서 K+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의 막의 전위를 K+ 평형 전위 (K+ equilibrium potential)라고 한다.

 

Nernst equation (1889)

 

https://www.w3schools.blog/nernst-equation-and-its-application-to-chemical-cells

(E : 세포 평형 전위, R: gas constant, n: 이온 원자가, F: Farady constant, T: 절대온도)

 

네른스트 식이란 전기화학에서 양 극의 전해질의 농도가 같지 않을 경우에도 깁스 자유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지의 전극 전위 E를 기술하는 식이다. 1889년 발터 네른스트가 발견하였다. 전위차가 주어지면 네른스트 식을 적용하여 수소 이온 농도를 구할 수 있다.

 

Ion equilibrium 구하는 Nernst equation 실험적으로도 증명이 되었다. 그렇다면 세포에서 흘러나간 K+ 세포 안으로, 흘러 들어온 Na+ 세포 밖으로 이동시키는 기구가 있어야 생명이 유지된다는 것을 있다. K+ electrochemical potential 역행해서 세포 안으로 운반되는 것을 K+ pump 라고 하고 Na+ electrochemical potential 역행해서 세포막 밖으로 운반되는 것을 Na+ pump라고 부른다. Na+ pump K+ pump 연결이 되어서 일어나는데 (Hodgkin and Keynes, 1955), ATP 분해되는 과정에서 유리되는 energy 사용하여 3개의 Na+ 세포막 밖으로 2개의 K+ 세포막 안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Na+-K+ pump 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