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vgg162

[Image Classification] VGGNet (cats-and-dogs) VGG16 케라스 API에서는 이 아키텍처의 구현물을 공식적으로 제공하며 tf.keras.application 패키지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이 패키지에는 그 외에도 잘 알려진 모델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모델에 대해 ‘사전에 훈련된’ 매개변수 (특정 데이터셋에서 사전에 훈련시키는 과정에서 저장해둔 매개변수)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다음 명령어로 VGG 네트워크를 인스턴스화할 수 있다. Vgg_net = tf.keras.applications.VGG16( Include_top = True, weights = ‘imagenet’, input_tensor = None, Input_shape = None, pooling = None, classes = 1000) 이 기본 인수를 사용해 케라스는 VGG-16 .. 2022. 9. 6.
[Image Classification] VGGNet VGGNet VGGNet은 옥스포드 대학의 연구팀에 의해 개발된 모델로써, 2014년 ILSVRC에서 준우승한 모델이다. 이 모델은 이전에 혁신적으로 평가받던 AlexNet이 나온지 2년만에 다시 한 번 오차율 면에서 큰 발전을 보여줬다. VGGNet의 original논문의 개요에서 밝히고 있듯이 이 연구의 핵심은 네트워크의 깊이를 깊게 만드는 것이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VGG연구팀은 깊이의 영향 만을 최대한 확인하고자 컨볼루션 필터 커널의 사이즈는 가장 작은 3x3으로 고정했다. VGG 연구팀은 original 논문에서 총 6개의 구조 (A, A-LRN, B, C, D, E)를 만들어 성능을 비교했다. 여러 구조를 만든 이유는 기본적으로 깊이의 따른 성능 변화를 비교하기 .. 2022. 9. 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