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perceptron3 [AI] 인공지능의 역사 (2) 인공지능의 발전 1960년대 이전 1946년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ENIAC 개발 ⁃ 큰 기대와 여러 가지 시도, 매우 제한된 성공 LISP 언어 개발 (매커시, 1958) ⁃ 논리 기반 지식표현 및 추론 퍼셉트론 (Perceptron) 모델 (로젠블랏, 1958) ⁃ 초기 신경망 모델 수단-목표 분석 (means-ends analysis) 기법 (Newell & Simon, 1958) ⁃ 범용 문제해결을 목표로 한 GPS (General Problem Solver) 개발 수단-목표 분석 (means-ends analysis)은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상태 (state)로 정의한다. 현재 상태와 목적 상태 (goal state) 간의 차이 계산하고 목적 상태로 도달하기 위한 조작자 (operator, 연산자.. 2022. 9. 15. 10. 신경망 (Neural Network) 신경망 (Neural Network) 기계학습과 인지과학에서 생물학의 신경망 (동물의 중추신경계중 특히 뇌)에서 영감을 얻은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이다. 신경세포를 흉내 내며 어느 정도 이하의 자극은 무시된다. 퍼셉트론 (Perceptron) 퍼셉트론 (perceptron)은 인공신경망의 한 종류로서, 1957년에 코넬 항공 연구소(Cornell Aeronautical Lab)의 프랑크 로젠블라트 (Frank Rosenblatt)에 의해 고안되었다. 다층 퍼셉트론 (Multilayer Perceptron) 다층 퍼셉트론은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층이 존재하는 신경망이다. 네트워크는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층내의 연결과 출력층에서 입력층으로 직접적 연결이 없다.. 2021. 12. 15. [ANN] 퍼셉트론 (Perceptron) 사람의 뉴런 두뇌의 가장 작은 정보처리 단위이다. 세포체 (cell body)는 간단한 연산하며 수상돌기 (dendrite)는 신호 수신, 축삭 (axon)은 처리 결과를 전송한다. 사람은 1011개 정도의 뉴런을 가지며, 뉴런은 1000개 가량 다른 뉴런과 연결되어 있어 1014개 정도 연결되어 있다. 컴퓨터 인간의 두뇌 처리 소자의 개수 10^8개의 트랜지스터 10^10개의 뉴런 처리 소자의 속도 10^12Hz 10^2Hz 학습 기능 없음 있음 계산 형태 중앙 집중식, 순차적 처리 분산 병렬 처리 뉴런의 기본 동작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 신호가 축삭 돌기를 지나 축삭 말단으로 전달한다. 축삭 돌기를 지나는 동안 신호가 약해지거나, 너무 약해서 축삭 말단까지 전달되지 않거 나 혹은 강하게 전달되기도 한.. 2021. 12. 1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