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hypopnea2

비정상적인 CO2 파형의 원인 비정상적인 CO2 파형의 원인 수면다원검사 중 가장 흔히 나타나는 비정상 파형은 무호흡 (Apnea)과 함께 발생하는 제로 기준선 추적이다. 무호흡증이 끝날 때 공기 흐름이 재개되면서 정상 파형으로 돌아오는 것이 보이다. 이러한 유형의 파형은 샘플 튜브가 습기나 점액으로 막혀 인위적으로 발생하여 신호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 문제는 일반적으로 샘플링 튜브를 여는 기기 퍼지 사이클을 사용하여 쉽게 해결된다. 퍼지로 신호를 복구할 수 없는 경우 인터페이스 (비강 캐뉼라) 또는 광학 벤치에 있는 필터를 변경해야 할 수 있다. SaO2의 감소와 함께 발생하는 CO2 신호 손실은 무호흡으로 인한 생리적 현상이다. EtCO2 수준이 0이 아닌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은 저호흡증 (hypopnea) 또는 부분.. 2023. 10. 16.
수면 무호흡증 진단 수면 무호흡증 (obstructive sleep apnea) 무호흡은 외비공과 구강을 통한 호흡이 10초 이상 정지하고 호흡의 크기가 기본치의 80% 이상 감소된 경우이며, 저호흡 (hypopnea)은 호흡이 10초 이상 정지하고 기본치의 50% 이상 감소되거나 호흡이 감소되면서 각성 혹은 4% 이상 산소포화도 저하가 동반된 경우이다. 저호흡에 대해서 이후 미국 수면학회에서 제시한 다 른 기준이 있기는 하나 어떤 기준을 사용하든 사용했던 기준을 잘 기술하고 일관성을 가지면 될 것이다. 수면중 무호흡과 저호흡의 횟수를 합하여 총 수면시간으로 나눈 값을 무호흡-저호흡 지수 (apnea-hypopnea index, AHI)라 하는데 이 값이 5 이상일 때 수면 무호흡증으로 진단한다. 또한, 무호흡-저호흡 지수.. 2022. 4. 2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