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hyperpolarization2

[Computational Neuroscience] 흥분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흥분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Factors affecting membrane excitability) 세포외액의 Ca2+은 Na+의 세포막에 대한 투과도를 감소시키므로 세포막에서 stabilizer로 작용한다. 따라서, hypercalcemia 시는 Na+의 투과도가 감소되어 막전위가 과분극 (hyperpolarization)으로 되어 흥분성은 감소하는 반면 hypocalcemia 시는 Na+의 투과도가 증가되어 막전위가 저분극 (hypopolarization)이 되어 흥분성이 증가된다. Hypokalemia 시는 세포외액의 K+이 감소되면 [K+]o / [K+]i의 비율이 증가되어 막전위가 과분극으로 되어 흥분성이 감소된다. Hyperkalemia 시는 [K+]o / [K+]i의 비율이 감소되어 막.. 2022. 12. 6.
[Computational Neuroscience] Leaky Integrate and Fire Model (LIF) Leaky Integrate and Fire (LIF) leaky integrate and fire 모델에서는 membrane을 resistor-capacitor (RC) 회로화 그리고 cell로 external current가 injecting하는 것을 모델링 한다. Kirchhoff’s rule에 의해 모든 전류의 합은 0이 됨을 안다. 이것은 external current이 resistive current와 capactive current의 합임을 의미한다. cell은 외부에 대해 음전하를 띠고 있고 membrane이 매우 얇기 때문에 음전하가 membrane 내부를 따라 축적되고 외부에서 양전하를 끌어당긴다. 이것은 membrane이 capacitor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membrane.. 2021. 12. 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