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histogram3

[Python] 가속도계 데이터 분석 가속도계 (Accelerometer) 가속도계는 동작의 가속도나 진동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가속도계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는 3차원이며 낙상 감지 및 건강 모니터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다. 가속도계 데이터 분석을 위해 먼저 가속도계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 가속도계는 3차원 데이터를 수집하므로 특정 시간에 대한 데이터 세트의 x, y, z 축에 대한 데이터를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import plotly.express as pximport pandas as pdimport plotly.graph_objects as godata = pd.read_csv("accdata.csv")print(data.head()) Date .. 2023. 2. 13.
자료의 표현 자료의 표현 자료를 요약하고 단순한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적절한 통계 분석을 통해 통계적 추론은 상식에 맞아야 하며 기술통계적 방법 (descriptive statistics)부터 적용한다. 도표나 그래프의 이용할 때 분명하게 표시 (labeled)해야 하며, 자체적으로 설명 가능(self-explanatory) 해야한다. 너무 자세하지도, 너무 산만하지도 않게 적절하게 표현 (과장 표현은 금물)한다. 빈도표 (Frequency Table) 빈도표 (Frequency Table)는 자료를 요약해서 나타내주는 흔한 방 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자료가 discrete (count)한 경우 많이 쓰인다. 일반적으로 절대 빈도나 상대 빈도가 많이 쓰인다. 절대 빈도 주어진 범주에 속한 개체.. 2022. 11. 4.
[Data Science] 데이터 시각화 (2) 히스토그램 (Histogram) 히스토그램 (Histogram)은 ‘변수가 하나인 데이터의 빈도수’를 그래프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x축을 같은 크기의 여러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 속하는 데이터 값의 빈도를 y축에 표시한다. 구간을 나누는 간격의 크기에 따라 빈도와 히스토그램 모양이 변한다. plt.bar(x, y, width, color) (x = 범주, y = 그래프의 높이, width = 그래프 폭, color = 색상) # 막대 그래프 그리기 x = ['사과', '포도', '딸기'] # 항목 데이터 y = [12, 31, 24] # 빈도(크기) 데이터 # 그래프 제목 plt.title("과일 생산량") # 색상은 밝은 파랑, 그래프 폭은 0.5 plt.bar(x, y, color = "lig.. 2022. 9. 2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