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SSEP3

EEG with ML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phy) 뇌 신경 사이의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 두피에서 측정한 뇌의 전기적 활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Brain-Computer Interface)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는 신호 뇌전도 신호의 특징 시간 자극이 주어진 이후의 변화 또는 어떤 작업을 하는 동안의 시간적 특징 분석 주파수 δ (0.1 ~ 4Hz), θ (4 ~ 8Hz), α (8 ~ 13Hz), β (13 ~ 30Hz), γ (30 ~ 50Hz)에 대한 분석 공간 뇌신호가 활성화되는 뇌 영역 분석 뇌전도 신호 종류 1. Resting state EEG 2. Mental-task Imagery 3. Steady-state Evoked Potential (SSEP) 4. Event .. 2022. 7. 12.
정상 상태 유발 전위 (Steady-State Evoked Potential; SSEP) 정상 상태 유발 전위 (Steady-State Evoked Potential) 뇌전도 신호의 종류에는 뇌파 (brain wave), ERP (event related potential), SSEP (steady-state evoked potential)가 있다 SSEP에서는 SSVEP (steady-state visual evoked potential), SSSEP (steady-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등이 있다. SSEP 신호 종류 설명 SSVEP (steady-state visual evoked potential) - ‌일정한 특정 주파수를 가진 섬광 자극으로 인한 자연적인 반응으로 후두엽 시각피질의 뉴런들이 그 자극과 동일한 주파수로 반응 - ‌모니터 화면이나 LED.. 2022. 3. 11.
뇌전도 (EEG)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phy) 뇌전도 (腦電圖, 영어: electroencephalogram (데이터), electroencephalography (기술), EEG)는 전극을 통해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전기생리학적 측정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여 신호를 측정하는 경우만 가리켜 말한다. 신경 세포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온 전류에 의해 유도된 전위의 요동을 측정하는 것이다. 환자를 진단할 때에는 주로 특정 사건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사건 관련 전위나, 뇌파의 스펙트럼 밀도를 주로 분석한다. 뇌전증 환자를 대부분 뇌전도의 이상을 통해 진단한다. 이외에도 수면 장애, 혼수상태, 뇌증, 뇌사를 진단할 때 사용하기도 하며 마취의 깊이를 측정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2022. 3. 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