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Gradient Descent5 [Data Science] 경사 하강법 (Gradient Descent) 경사 하강법 (Gradient Descent) 손실 함수의 최소값을 찾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실생활에서 적용되는 데이터들은 함수 형태가 복잡하여 미분 계수를 계산하는 과정에 비해 비교적 쉽게 구현 가능하다. 데이터 양이 커질수록 계산량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임의의 매개변수를 정해 비용 함수의 시작 지점 (x축)으로 지정 해당 매개변수로 모델의 오차를 구한 다음, 비용 함수의 시작 지점 (y축)으로 지정 시작 지점에서 다음 지점으로 갈 방향을 정하기 위해, 시작 지점의 기울기를 계산 기울기 (Gradient)와 보폭 (Learning rate)를 사용해 다음 지점으로 이동 위의 과정을 최소값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 학습률 (Learning rate)이 너무 크면 발산할 수 있고, 학습률이 너무 작으면 학습 .. 2022. 11. 10. [Machine Learning] 경사하강법 (Gradient Descent) 경사하강법 (Gradient Descent) 경사 하강법 (Gradient descent)은 1차 근삿값 발견용 최적화 알고리즘이다. 기본 아이디어는 함수의 기울기 (경사)를 구하여 기울기가 낮은 쪽으로 계속 이동시켜서 극값에 이를 때까지 반복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회사 직원들의 근무 만족도를 1~100점 점수로 평가한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하고 그것을 이차원 그래프상에 표시한다. 위의 데이터를 보면 "급여가 올라감에 따라 직원 만족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와 같은 패턴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모든 것이 일직선 상에 잘 맞지는 않다. 이러한 현상은 현실 세계에서 실제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항상 발생한다. 그렇다면 급여에 따른 직원의 만족도를 완벽하게 예측할 수 있는 AI를 어떻게 학습 시킬 수 .. 2022. 4. 28. [Deep Learning] 역전파 (Backpropagation) / 경사하강법 (Gradient Descent) 역전파 (Backpropagation) input에서 output으로 weight를 업데이트하면서 activation fuction을 통해 결과값을 가져오는 것을 순전파 (foward)라고 하며 말 그대로 앞쪽으로 input 값을 전파, 보내는 것이다. 하지만 임의로 순전파 했다고 출력 값이 정확하지는 않을 것이다. 임의로 설정한 weight 값이 input에 의해서 한 번 업데이트 되긴 했지만 많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역전파는 출력값에 대한 입력값의 기울기를 출력층 layer에서부터 계산하여 거꾸로 전파시키는 것이다. 거꾸로 전파시켜 최종적으로 출력층에서 output값에 대한 입력층의 input data 기울기 값을 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chain rule이 이용된다. input이 들어오는 .. 2022. 1. 3. [Deep Learning] 경사 하강법 (Gradient Descent) / 배치 사이즈 (Batch Size) / 에포크 (Epoch) 경사 하강법 (Gradient Descent) 반복 (iterative, 곡선의 최소값) 최상의 결과를 찾기 위해 기계 학습에 사용되는 최적화 알고리즘이다. 알고리즘은 iterative이므로 최적의 결과를 얻으려면 여러 번 결과를 얻어야 한다. gradient descent의 반복적인 quality은 과소 적합 (under-fitted) 그래프가 그래프를 데이터에 최적으로 맞추는 데 도움이 된다. gradient descent에는 학습률 (learning rate)이라는 매개변수 (parameter)가 있다. 왼쪽 그림에서 처음에는 단계가 더 크다는 것은 learning rate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포인트가 내려갈수록 단계의 크기가 짧을수록 learning rate은 더 작아진다. 또한, 비용 .. 2021. 12. 22. 10. 신경망 (Neural Network) 신경망 (Neural Network) 기계학습과 인지과학에서 생물학의 신경망 (동물의 중추신경계중 특히 뇌)에서 영감을 얻은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이다. 신경세포를 흉내 내며 어느 정도 이하의 자극은 무시된다. 퍼셉트론 (Perceptron) 퍼셉트론 (perceptron)은 인공신경망의 한 종류로서, 1957년에 코넬 항공 연구소(Cornell Aeronautical Lab)의 프랑크 로젠블라트 (Frank Rosenblatt)에 의해 고안되었다. 다층 퍼셉트론 (Multilayer Perceptron) 다층 퍼셉트론은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층이 존재하는 신경망이다. 네트워크는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층내의 연결과 출력층에서 입력층으로 직접적 연결이 없다.. 2021. 12. 1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