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EPILEPSY3 신경학 (Neurology) 신경학 (Neurology) 신경학은 신경계와 관련된 모든 범주의 상태 및 질병의 진단 및 치료를 다루는 의학 의 한 분야이다. 뇌, 척수 및 말초 신경 으로 구성된다. 신경학적 실습은 신경계에 대한 과학적 연구인 신경 과학 분야에 크게 의존한다. 신경과 전문의는 신경학을 전문으로 하며 신경 장애를 조사, 진단 및 치료하도록 훈련받은 의사이다 . 신경과 전문의는 뇌졸중, 간질, 파킨슨병과 같은 운동 장애, 뇌 감염,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 신경 장애, 수면 장애, 뇌 손상, 편두통 과 같은 두통 장애, 뇌 종양 및 알츠하이머 등의 치매를 다룬다. 신경과 전문의는 임상 연구, 임상 시험, 기초 또는 중개 연구에서도 역할을 맡을 수 있다. 신경과는 비외과 전문 분야이고, 그에 상응하는 외과 전문 분야.. 2023. 12. 6. 입체전도 (Stereoelectroencephalography) 입체전도 (Stereoelectroencephalography) 입체전도 (Stereoelectroencephalography, sEEG)는 대뇌에 전극을 삽입하여 깊이에 따른 뇌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치유가 힘든 뇌전증 환자에게 뇌전증 발작을 억제하려고 대증적인 목적에서 주로 삽입한다. sEEG는 발작 초점의 위치를 더 잘 파악하기 위해 뇌에 전극을 외과적으로 이식하는 것이다. 깊이에 따른 뇌 신호의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기존의 뇌파 검사는 뇌에서 발작이 어디서 발생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정확한 지점을 정확히 찾아낼 수는 없었다.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려면 sEEG가 필요하다. https://w.. 2023. 12. 3. [Clinical Neuroscience] 뇌전증 (간질, Epilepsy) 뇌전증 (Epilepsy) 뇌전증 (腦電症)은 경련을 일으키고 의식 장애를 일으키는 발작 증상이 되풀이하여 나타나는 병이다. 흔히 말하는 '간질병' (癎疾病) 또는 '간질'의 정식 명칭이다. '간전증' (癎電症)이라고도 부르며, 의학계와 보건당국에서는 '뇌전증'이란 명칭을 쓴다. 대한간질학회의 현재 명칭이 대한뇌전증학회다. 보건당국은 간질이란 병명을 법령용어에서 공식적으로 없애고, 대신 뇌전증이란 명칭을 쓰기로 했다. 간혹 “전간”이란 표현을 사용하는 이들이 있고 항뇌전증약 (뇌전증에 사용하는 약)을 “항전간제”라 부르기도 하는데, 실은 “전간”은 이 질병의 옛 명칭으로 현재 중국과 일본에서도 쓰이는 용어다. 이 '전간'이 일본식 발음으로 "텐칸"인데, 이게 바로 한국어 뗑깡의 어원이다. '장애인 등에 .. 2022. 2. 2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