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Binary3

[Linux] 리눅스 기초 용어 바이너리 (Binary)  바이너리란 실행 가능한 파일을 의미한다. 윈도우에서 실행 파일과 비슷한 개념이다. 바이너리는 주로 /usr/bin 경로 혹은 /usr/sbin 디렉토리에 존재한다. ps, cat, ls 등과 같은 유틸리티 바이너리도 /usr/bin 디렉토리에 존재한다. 디렉토리 (Directory)  리눅스에서 디렉토리는 윈도우에서 폴더 (folder)와 동일한 개념이다. 루트 (Root)  루트는 관리자 (administrator) 또는 슈퍼 유저 (super user) 계정을 말한다. 시스템 상에서 대부분의 것들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징 계정이다. 루트 권한을 활용하면 사용자 추가, 비밀번호 변경과 같은 시스템 설정이 가능하다. 터미널 (Terminal)  터미널(Terminal)은 컴퓨.. 2024. 5. 14.
[Computer Science] 이진수 (Binary) 이진수 (Binary) 이진법 (二進法, binary)은 두 개의 숫자(1과 0)만을 이용하는 수 체계이다. 관습적으로 0과 1의 기호를 쓰며 이들로 이루어진 수를 이진수라고 한다. 이진법은 라이프니츠 (Gottfried Wilhelm Leibniz)가 음양사상의 영향을 받아 발명하였다. 십진법의 1은 이진법에서는 1, 십진법의 2는 이진법에서는 10, 십진법의 3은 이진법에서는 11이다. 이처럼 이진법에서는 1로 끝나는 수 다음 수는 자릿수가 하나 더 많은 수인데, 이는 십진법에서 9로 끝나는 수 다음 수가 자릿수가 하나 더 많은 수인 것과 유사하다. 컴퓨터에서는 논리의 조립이 간단하고 내부에 사용되는 소자의 특성상 이진법이 편리하기 때문에 이진법을 사용한다. 디지털 신호는 기본적으로 이진법 수들의 나.. 2023. 6. 7.
[시각 지능] Image Data Augmentation + Transfer Learning Image Data Augmentation import tensorflow as tf from tensorflow.keras.models import Sequential from tensorflow.keras.applications import MobileNet, Xception from tensorflow.keras.layers import Flatten, Dense, Dropout, GlobalAveragePooling2D from tensorflow.keras.preprocessing.image import ImageDataGenerator !wget https://storage.googleapis.com/mledu-datasets/cats_and_dogs_filtered.zip import os .. 2022. 8. 2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