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재분극3 [Computational Neuroscience] 활동 전위 (Action potential) 활동 전위 (Action potential) 활동전위란 자극을 받으면 막전위가 계속 감소되어서 0 전위가 되었다가 이번에는 막 안이 +로 하전되어 overshoot가 일어나서 정점에 도달하고 다시 막전위가 증가하여 자극 받기 전의 전위로 돌아오는 것이다. 신경섬유가 자극을 받은 다음 막전위가 감소되어 정점까지 도달하는 과정을 탈분극 (depolarization)이라 하고 정점에서 막전위가 증가해서 자극 받기 전의 막전위로 돌아오는 과정을 재분극 (repolarization)이라고 한다. Hodgkin과 Huxley는 섬유막에는 Na+ channel과 K+ channel이 있어 Na+ channel이 급격히 열려서 Na+이 막 안으로 들어오고 곧 닫히면 Na+는 들어가지 못하고, 서서히 열린 K+ chan.. 2022. 10. 4. 임상 ECG 기능 임상 ECG 기능 (Clinical ECG features) ECG 신호는 일련의 박동으로 나타난다 (즉, 심장 주기). ECG 신호의 각 주기는 신호의 등전선을 따라 순서대로 결합된 P, Q, R, S, T 및 U라고 하는 위쪽 및 아래쪽 편향의 고유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생리학적 및 임상적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P파는 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내고, QRS 복합체는 심실의 탈분극을 나타내고, T파는 심실의 재분극을 나타낸다. ECG의 세그먼트는 두 파동 사이의 영역이다. 예를 들어, PR 세그먼트는 P파의 시작 부분에서 시작하여 Q파의 시작 부분에서 끝난다. ECG의 간격은 하나의 세그먼트와 하나 이상의 파동을 포함하는 기간이다. 예를 들어, PR 간격에는 P파와 PR 세그먼트가 포함되.. 2022. 4. 29. [Computational Neuroscience] Leaky Integrate and Fire Model (LIF) Leaky Integrate and Fire (LIF) leaky integrate and fire 모델에서는 membrane을 resistor-capacitor (RC) 회로화 그리고 cell로 external current가 injecting하는 것을 모델링 한다. Kirchhoff’s rule에 의해 모든 전류의 합은 0이 됨을 안다. 이것은 external current이 resistive current와 capactive current의 합임을 의미한다. cell은 외부에 대해 음전하를 띠고 있고 membrane이 매우 얇기 때문에 음전하가 membrane 내부를 따라 축적되고 외부에서 양전하를 끌어당긴다. 이것은 membrane이 capacitor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membrane.. 2021. 12.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