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알고리즘5 [Algorithm] 휴리스틱 (Heuristics) (1) 휴리스틱 (Heuristics) 문제를 해결하거나 불확실한 사항에 대해 판단을 내릴 필요가 있지만, 명확한 실마리가 없을 경우에 사용하는 편의적 발견적인 방법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쉬운 방법, 간편법, 발견법, 어림셈 (어림짐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휴리스틱은 솔루션에 빠르게 도달하기 위해 인간이 정기적으로 의존하는 일반적인 인지 프레임워크로 생각할 수 있다. Kahneman의 의사 결정 이론 심리학자 Daniel Kahneman이 인지 문제 해결에 대한 엄청난 공헌은 특별한 관심을 받을 만하다. Kahneman은 자신의 이론에 대한 맥락으로 개인이 매일 약 35,000번의 결정을 내린다고 추정했다. 이러한 결심에 도달하기 위해 마음은 "빠른" 또는 "느린" 사고에 의존한다. 빠른 사고 경로 (시스.. 2023. 6. 21. [Algorithm] 스택 (Stack) 스택 (Stack) 스택은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나열 구조이다. 그 접근 방법은 언제나 목록의 끝에서만 일어난다. 끝먼저내기 목록이라고도 한다. 스택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구조으로 되어 있다. 스택은 후입선출 (LIFO) 방식이다. class ListNode: def __init__(self, value): self.value = value self.next = None class Stack: def __init__(self): self.head = None self.size = 0 def is_empty(self): return self.size == 0 def push(self, value): new_node = ListNode(value) new_node.next .. 2023. 6. 15. 알고리즘 (Algorithm) 알고리즘 (Algorithm) 알고리즘, 셈법은 수학과 컴퓨터 과학, 언어학 또는 엮인 분야에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이다. 계산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적 절차를 의미하기도 한다. 즉, 문제 풀이에 필요한 계산 절차 또는 처리 과정의 순서를 뜻한다. 프로그램명령어의 집합을 의미하기도 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5%8C%EA%B3%A0%EB%A6%AC%EC%A6%98 알고리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고리즘(영어: algorithm), 셈법은 수학과 컴퓨터과학, 언어학 또는 엮인 분야에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이다. 계산을 실행하기 위한 ko.wikipedia.org 2023. 6. 15. [HeartPy] 알고리즘 (1) Clipping detection and interpolation 측정된 속성이 센서의 감도 범위를 초과할 때마다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할 때 클리핑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리핑은 신호가 사용 중인 센서의 경계 외부에서 계속되기 때문에 피크가 평평해짐을 의미한다. 클리핑은 신호의 (거의) 평평한 부분을 최대값에 가깝게 감지하여 앞과 뒤에 양쪽 끝에서 가파른 각도가 뒤따르는 기능을 한다. '누락된' 신호 피크는 신호의 클리핑 부분의 양쪽 끝에 있는 100ms의 데이터를 고려하는 3차 스플라인을 사용하여 보간된다. 재구성된 R-피크는 원래 신호에 오버레이되어 추가 분석에 사용된다. Peak enhancement 진폭을 정규화한 다음 나머지 신호에 비해 R-피크 진폭을 증가시키는 피크 향상 기능.. 2022. 8. 23. Wavelet 변환 Wavelet 변환 웨이블릿 (wavelet)이란 0을 중심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진폭을 수반한 파동 같은 진동을 말한다. 그것은 지진계나 심박 체크에 기록되어 보이는 것과 같은 전형적인 "짧은 진동"의 형태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웨이블릿은 신호 처리에 유용한 특정한 성질을 가지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다. 웨이블릿은 합성곱 (convolution) 기술을 통해 알고 있는 신호와 결합하여, 알려지지 않은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온도 (Middle C) 주파수와 대략 32분 음표 정도의 길이를 가진 웨이블릿을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웨이블릿이 노래의 녹음본에서 생성된 신호와 합성곱 된다면, 그 결과를 통해 노래에서 언제 미들 C 노트가 재생되고 있었는지.. 2022. 4. 1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