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신경계3 신경계 (The Nervous System) (2) 교감신경계 (Sympathetic Nervous System) 교감 신경계 (SNS)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신체가 반응하고 에너지를 소비하도록 준비한다. 잠재적으로 위협적인 경험이 발생하면 신체는 소위 "투쟁 또는 도피" 현상으로 반응한다. 교감신경계는 산소를 증가시키기 위해 심박수와 호흡을 빠르게 하고, 더 나은 시력을 위해 동공을 확장하고,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소화를 감소시키고, 방어하거나 탈출하기 위해 신체의 근육을 준비시킨다. 신경과학 및 심리학 교과서에 자주 쓰여진 것처럼 - 도주, 먹이주기, 싸움 및 짝짓기의 네 가지 F를 제어한다. 이 시스템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서만 활성화되는 것이 아니다. 프로젝트 마감일이나 긴급한 이메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스트레스는 종종 시상하부-.. 2022. 4. 27. 신경계 (The Nervous System) (1) 신경계 (The Nervous System) 인간의 신경계는 우리가 주변 세계를 인지하고, 이해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화된 세포의 광범위한 네트워크이다. 집행 활동의 대부분은 뇌에서 발생하지만 척수는 대부분 뇌를 신체의 많은 세포에 연결하는 정보 고속도로 역할을 한다. 전기화학적 신호는 신체와 뇌의 회로를 연결하여 양방향 신호를 가능하게 한다.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s)의 두 부류로 나뉜다.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CNS는 뇌와 척수 (spinal cord)로 구성된다. 둘 다 두개골 (skull)과 척추뼈 (spinal vertebrae)로 보호되는 부드럽고 섬세한 조직으로 .. 2022. 4. 27. 신경계통 (Nervous system) 신경계통 중추신경계통 말초신경계통 신경조직 세포체 : 핵과 그 주위의 세포질, 미토콘드리아 등 소기관 가지돌기 : 세포체에서 나오는 것 신경세포의 표면적을 넓혀 시냅스 형성 축삭 : 세포체에서 받아들인 신경정보를 끝부분으로 전달 신경세포 홑극신경세포 : 발생기에 잠시 존재 거짓홑극신경세포 : 척수신경과 일부 뇌신경의 감각세포가 이런 형태 두극신경세포 : 망막과 속귀의 평형기관, 청각기관 다극신경세포 : 대부분의 신경세포 말이집신경섬유 : 대부분의 신경섬유, 전도속도 빠름 민말이집신경섬유 : 일부 통각 전달 신경교아세포 : 중추신경계 세포의 작용 도움, 말초신경계 세포의 영양과 대사를 돕는 위성세포 시냅스 : 신경세포의 종말과 가까운 신경세포, 신경전달물질 -> 활동전위 발생 2021. 12. 8.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