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모세혈관2 자기공명영상 (MRI)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 (MRI)은 신경과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영상 촬영 기법이다. 이 기법은 강한 자기장과 추가 자기장 및 전파를 결합하여 뇌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비침습적 기법 (non-invasive)이다. MRI는 뇌의 해부학, 기능 및 연결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심장, 근육, 관절과 같은 신체의 다른 부위를 연구하는 데도 사용되며,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임상 의학에서 널리 사용된다. 인지 신경과학에서 MRI는 뇌의 기능을 연구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된다. 이를 기능적 MRI (fMRI)라고 한다. fMRI는 뇌의 산소화 헤모글로빈 (oxygenated hemoglobin)과 탈산소화 (deoxygenated) 헤모글로빈의 비율.. 2023. 6. 15. [Clinical Neuroscience] 체액 (Body fluid) (2) Gibbs-Donnan equilibrium 단백질에 대한 투과도가 없는 막의 1측에 9개의 Na+이온과 9개의 Cl-이온이 들어있고 2측의 9개의 Na+ 이온과 9개의 단백질 이온이 들어 있다면 (단백질은 양성전해질 [ampholyte]로서 pH에 따라 그 하전 상태가 달라지는데, 37oC, pH 7.4 인 체액 내에서는 다량의 음전하를 가짐) Cl-은 농도 차에 따라 1측에서 2측으로 확산되며 그에 따라 Na+ 농도가 높아지면 Na+은 농도 차에 따라 2측에서 1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생기므로 결국 Cl-의 이동도 저해를 받게 된다. 이러한 여건하에서 각 전해질이 평형상태 때 막 양 측에 어떻게 분포될 지를 나타내는 것이 Donnan 평형인데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시된다. [Na+]1 X [Cl-]1.. 2023. 3.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