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뇌파7 [Vital Sign]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m)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m) 뇌파는 뇌 내부에 있는 각종 신경 세포의 전기 활동이 두개골과 두피를 통과해 집결한 두피 표면의 전위 변화를 나타낸다. 뇌파의 진폭은 50 ~ 100𝜇𝑉 주파수 대역은 0.5 ~ 70𝐻𝑧의 저주파 생체 신호 계측이 어려운 영역 뇌파와 각성도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국제뇌파학회연합 표준 전극 배치법 : 10-20 시스템 뇌파는 전위 변화의 집합이다. 이에 국제적인 전극 배치 위치의 기준이 존재한다. 정수리를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전극을 부착할 때, 반경 혹은 원주의 10%나 20%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여 10-20 시스템이라 한다. 10-20 시스템은 각각의 전극에서 계측하는 전위를 단극 유도에서 계측한다. 차동 증폭기를 사용한 쌍극 유도가 아닌 각각의.. 2023. 10. 24. 수면 단계 (Sleep Stage) 수면 단계 (Sleep Stage) 성인 수면의 약 75-80%를 차지하고 1, 2, 3, 4 단계 수면을 총괄해 지칭하는 말이다. 수면 초반, 특히 1단계 수면에서 Slow Eye Movement가 나타난다. 이 중 1, 2 단계를 얕은 상태의 수면이라고 말할 수 있고 서파 수면이라고도 불리는 3, 4 단계를 깊은 수면이라고 할 수 있으며 수면초기 1 / 3에 주로 나타난다. 이런 깊은 단계의 수면은 낮동안 소모된 신체 기능의 회복과 관련된다. 각성 단계 : Alpha파 (8 - 13Hz), beta파 (13 - 30Hz), 전체 수면의 5%이하를 차지하고 안구 운동 수의적 조절이 가능하다. N1 : Theta파 (4 - 8Hz), 전체 수면의 2~5%를 차지하고 느리게 움직이는 안구 운동이 특징적이다.. 2023. 9. 8. 뇌 기능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m) 뇌는 생물학적 매체에 대한 중앙 제어 및 데이터 처리 장치 역할을 한다. 뇌의 신경 활동은 뇌파 (EEG)와 같은 전극이나 자기뇌파 (MEG)라는 신호를 형성하는 자기 유도기를 통해 뇌 활동을 기록할 수 있는 활성 전위를 사용한다.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m)는 전기 (electro), 뇌 (encephalo), 기록 (gram)의 세 단어를 합친 것이다. 첫 번째 용어인 전기(electro)는 전기와 관련이 있고 두 번째 용어인 뇌 (encephalo)는 그리스어 en-kephale에서 유래한 것으로 "머리 속"을 의미하며 뇌를 의미한다. 세 번째 용어인 gram은 기록 행위를 나타낸다. 세 단어를 합치면 뇌파검사 (electroenc.. 2023. 8. 29. 생체 신호 (뇌파도) (2) 뇌파도 (EEG) 뇌는 전신의 명령 센터이다. 그것은 우리의 감각으로부터 정보를 받고 우리의 생각과 움직임을 통제한다. 이 복잡한 기관을 더 잘 탐구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뇌를 부분과 영역으로 나누었다. 가장 큰 부분은 대뇌 (cerebrum)이며 두 개의 반구로 나뉜다. 외층은 껍질에 대한 라틴어 용어이며 두께가 1/8인치에 불과한 피질이라고 한다. 피질 (cortex)은 4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1) 전두엽 (frontal lobe)은 성격과 감정을 담당한다. (2) 측두엽 (temporal lobe)은 청각 및 기타 감각을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되며 언어 및 읽기에 도움이 된다. (3) 두정엽 (parietal lobe)은 감각, 주의력, 언어와 관련이 있다. (4) 후두엽 (occipital lob.. 2022. 4. 26.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소개 (EEG) (3) 뇌전도 (EEG) EEG는 두피 표면에서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다. 전극은 뇌에서 생성된 전류를 픽업하기 위해 두피에 배치된다. 발화할 때 뉴런은 시냅스에서 더 낮은 전압과 축삭에서 더 높은 전압으로 쌍극자를 형성한다. 억제 뉴런이라면 쌍극자가 뒤집혀 축삭에서 전압이 더 낮아지고 시냅스에서 전압이 더 높아진다. 뉴런 내부에서 이러한 전압 이동의 원인은 Na+ 채널이 수상돌기를 따라 열려서 양의 전자가 넘쳐 흐르게 하고, 이 양전하는 축삭 아래로 이동하여 더 많은 나트륨 채널을 열어 전하가 축삭을 따라 내려가게 하고, 시냅스에서 방전되어 함께 신경 전달 물질을 방출한다. 뉴런 그룹이 함께 발화하면 두피에서 측정할 수 있는 충분한 신호를 제공한다. EEG (직경의 1/4 크기)를 사용하여 뉴런 클러스터 .. 2022. 4. 25. 수면다원검사 (Polysomnography) 수면다원검사 (Polysomnography) 수면다원검사 (Polysomnography)는 환자의 수면 중에 발생하는 질환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한 검사이다. 주로 뇌파와 심전도, 안전도 (눈의 움직임), 근전도, 비디오 촬영이 수반된다. 검사기록은 수면다원검사기록 (polysomnogram)으로 도출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B%A9%B4%EB%8B%A4%EC%9B%90%EA%B2%80%EC%82%AC 수면다원검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2022. 4. 13. 뇌파 (Brain Wave) 뇌파 (Brain Wave) 뇌파 (腦波, Electroencephalogram; EEG)는 뇌 (encephal-)내 신경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electro-) 신호를 대뇌피질 또는 두피에서 기록한 것 또는 그 기술 (gram / graphy)을 뜻하며 뇌전도 (腦電圖)라고도 한다. 뇌 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그나마 가장 간단한 방법이기에 뇌전증, 치매 진단의 의료용에서부터 인터페이스 기술에 이르기까지 용도가 다양하다. 참고로 전기적 신호로 나타나는 신경 활동에 의해 두뇌에서 자기장 변화도 함께 일어나며, 이 자기장 변화를 기록하는 것은 뇌자도 (腦磁圖, magnetoencephalography; MEG)라 한다. https://namu.wiki/w/%EB%87%8C%ED%8C%8C 2022. 2. 2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