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뇌전도8 [Vital Sign]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m)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m) 뇌파는 뇌 내부에 있는 각종 신경 세포의 전기 활동이 두개골과 두피를 통과해 집결한 두피 표면의 전위 변화를 나타낸다. 뇌파의 진폭은 50 ~ 100𝜇𝑉 주파수 대역은 0.5 ~ 70𝐻𝑧의 저주파 생체 신호 계측이 어려운 영역 뇌파와 각성도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국제뇌파학회연합 표준 전극 배치법 : 10-20 시스템 뇌파는 전위 변화의 집합이다. 이에 국제적인 전극 배치 위치의 기준이 존재한다. 정수리를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전극을 부착할 때, 반경 혹은 원주의 10%나 20%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여 10-20 시스템이라 한다. 10-20 시스템은 각각의 전극에서 계측하는 전위를 단극 유도에서 계측한다. 차동 증폭기를 사용한 쌍극 유도가 아닌 각각의.. 2023. 10. 24. 생체 신호 (Vital Sign) 생체 신호 (Vital Sign) 생체 신호란 살아있는 세포의 활동에서 발생되는 생물학적 신호로서 주로 전기 및 자기 신호를 말하며, 신호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정밀 측정 기술이 가장 핵심 기술이 된다. 생체 신호의 종류는 심전도 (ECG : electrocardiogram), 뇌전도 (EEG : electroencephalogram), 근전도 (EMG : electromyogram), 피부 전도도 (GSR : galvanic skin response), 피부 온도 (SKT : skin temperature), 맥파 (PPG : photoplethysmography) 등이 있다. 생체 신호 계측의 목적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일상 생활 중 생체 데이터 제공 이상 징후를 조기 발견하기 위한 건강 상태 모.. 2023. 10. 24. 생체전위 (Biopotentials) 생체전위 (Biopotentials) 인체에서 생체전위가 생성되는 원리와 이러한 생체전위를 기록하는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수면다원검사를 수행하는 데 필수적이다. 뇌의 뉴런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활동 (생체전위)이 EEG를 생성한다. 안구 운동에 따른 각막 망막 전위의 변화에 의해 생성된 전위는 EOG로 기록된 활동을 생성한다. 근육 세포에 의해 생성된 전기 활동은 EMG 활동을 생성한다. 이러한 생물학적 신호는 두피와 피부에 부착된 전극을 사용하여 신체에서 직접 기록된다.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m) EEG 기록은 뇌의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뇌 활동을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신호는 뇌의 신경 활동에 의해 생성된다. 수면다원검사의 핵심 측정이다. 뇌파 활동은 측정 가능한 진폭을.. 2023. 9. 25. 수면 단계 (Sleep Stage) 수면 단계 (Sleep Stage) 성인 수면의 약 75-80%를 차지하고 1, 2, 3, 4 단계 수면을 총괄해 지칭하는 말이다. 수면 초반, 특히 1단계 수면에서 Slow Eye Movement가 나타난다. 이 중 1, 2 단계를 얕은 상태의 수면이라고 말할 수 있고 서파 수면이라고도 불리는 3, 4 단계를 깊은 수면이라고 할 수 있으며 수면초기 1 / 3에 주로 나타난다. 이런 깊은 단계의 수면은 낮동안 소모된 신체 기능의 회복과 관련된다. 각성 단계 : Alpha파 (8 - 13Hz), beta파 (13 - 30Hz), 전체 수면의 5%이하를 차지하고 안구 운동 수의적 조절이 가능하다. N1 : Theta파 (4 - 8Hz), 전체 수면의 2~5%를 차지하고 느리게 움직이는 안구 운동이 특징적이다.. 2023. 9. 8. [MNE-Python] ICA를 이용하여 EEG 신호에서 안구 운동 제거 배경 ICA (독립 구성 요소 분석)는 다중 채널 EEG 기록을 최대한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 분해한다. 안구 활동을 나타내는 구성 요소를 식별하고 제거하여 인공물이 없는 EEG 신호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 접근 방식은 Jung et al.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2000). 회귀 기반 접근 방식은 EOG 채널이 필요하지만 ICA는 참조 신호 없이 작동한다. 두 방법 모두 잠재적으로 안구 활동 외에도 뇌 활동을 제거한다. 많은 EEG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ICA는 안구 구성요소를 뇌 구성요소에서 잘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데이터 샘플이 필요함). 더 깨끗한 분리는 또한 안구 구성 요소가 제거될 때 더 적은 뇌 활동이 제거됨을 의미한다. ICA 분해에 필요한 최소 EEG .. 2022. 8. 23. EEG with ML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phy) 뇌 신경 사이의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 두피에서 측정한 뇌의 전기적 활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Brain-Computer Interface)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는 신호 뇌전도 신호의 특징 시간 자극이 주어진 이후의 변화 또는 어떤 작업을 하는 동안의 시간적 특징 분석 주파수 δ (0.1 ~ 4Hz), θ (4 ~ 8Hz), α (8 ~ 13Hz), β (13 ~ 30Hz), γ (30 ~ 50Hz)에 대한 분석 공간 뇌신호가 활성화되는 뇌 영역 분석 뇌전도 신호 종류 1. Resting state EEG 2. Mental-task Imagery 3. Steady-state Evoked Potential (SSEP) 4. Event .. 2022. 7. 12.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소개 (EEG) (3) 뇌전도 (EEG) EEG는 두피 표면에서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다. 전극은 뇌에서 생성된 전류를 픽업하기 위해 두피에 배치된다. 발화할 때 뉴런은 시냅스에서 더 낮은 전압과 축삭에서 더 높은 전압으로 쌍극자를 형성한다. 억제 뉴런이라면 쌍극자가 뒤집혀 축삭에서 전압이 더 낮아지고 시냅스에서 전압이 더 높아진다. 뉴런 내부에서 이러한 전압 이동의 원인은 Na+ 채널이 수상돌기를 따라 열려서 양의 전자가 넘쳐 흐르게 하고, 이 양전하는 축삭 아래로 이동하여 더 많은 나트륨 채널을 열어 전하가 축삭을 따라 내려가게 하고, 시냅스에서 방전되어 함께 신경 전달 물질을 방출한다. 뉴런 그룹이 함께 발화하면 두피에서 측정할 수 있는 충분한 신호를 제공한다. EEG (직경의 1/4 크기)를 사용하여 뉴런 클러스터 .. 2022. 4. 25. 뇌전도 (EEG)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phy) 뇌전도 (腦電圖, 영어: electroencephalogram (데이터), electroencephalography (기술), EEG)는 전극을 통해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전기생리학적 측정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여 신호를 측정하는 경우만 가리켜 말한다. 신경 세포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온 전류에 의해 유도된 전위의 요동을 측정하는 것이다. 환자를 진단할 때에는 주로 특정 사건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사건 관련 전위나, 뇌파의 스펙트럼 밀도를 주로 분석한다. 뇌전증 환자를 대부분 뇌전도의 이상을 통해 진단한다. 이외에도 수면 장애, 혼수상태, 뇌증, 뇌사를 진단할 때 사용하기도 하며 마취의 깊이를 측정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2022. 3. 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