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기면증4

누비질 (Nuvigil) 누비질 (Nuvigil) Armodafinil (Nuvigil)은 eugeroic modafinil (Provigil)의 거울상 순수 화합물이다. 라세미 모다피닐의 (R)-(-)- 거울상 이성질체로만 구성된다. Armodafinil은 제약회사 Cephalon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2007년 6월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다. armodafinil은 modafinil보다 반감기가 길기 때문에 과도한 주간 졸음이 있는 환자의 각성 개선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Armodafinil은 현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기면증 및 교대 근무 장애와 관련된 과도한 주간 졸음을 치료하기 위해 FDA 승인을 받았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 만성 피로 증후군 및 주요 우울 장애 를 치료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오프 라벨.. 2022. 6. 10.
기면증 진단 기면증 (narcolepsy) 기면증의 호발연령은 15-25세이며 35-45세가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기면증의 유병률은 나라마다 차이는 보이지만 대체로 0.02- 0.05%로 보고되고 있다. 기면증의 4대 증상은 주간졸림증, 탈력발작, 수면마비, 입면시 환각이며 야간 수면장애를 더하여 5대 증상이라고도 한다. 탈력발작은 기면증의 특징적인 증상으로 웃거나 화가 나거나 하는 감정반응에 촉발되어 근육의 긴장이 저하되는 현상으로 고개를 떨구는 경한 증상에서 무릎을 꿇거나 완전히 바닥에 쓰러지는 것까지 그 정도는 다양하다. 의식은 유지되고 수초에서 수분간 지속되다가 저절로 회복된다. 제 2판 국제수면질환 분류에서는 탈력발작이 있는 기면증과 탈력발작이 없는 기면증으로 구분하고 있다. 진단시 MSLT에서 평균수면잠.. 2022. 4. 22.
콘서타 (Concerta) 콘서타 (Concerta) 메틸페니데이트 (methylphenidate, MPH)는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ADHD)와 기면증 (narcolepsy)의 치료제로써 승인된 중추신경계 각성제이다. 속방형 제제인 페니드와 페로스핀을 비롯한, 장용성 서방형 제제인 콘서타 (Concerta)와 메타데이트, 메디키넷 (Medikinet), 리탈린 (Ritalin)이라는 상표명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가장 흔히 처방되는 각성제로써 중추신경계의 활동을 증가시킨다. 메틸페니데이트는 뇌의 모노아민 수송체에 작용하여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메틸페니데이트의 구조는 암페타민과 비슷하나 의존 위험성은 낮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9%.. 2022. 4. 17.
기면증 (Narcolepsy) 기면증 (Narcolepsy) 기면증은 수면 발작 (야간에 충분한 수면을 취해도 낮에 심하게 졸음), 탈력 발작 (감정적으로 흥분할 때 힘이 빠지는 증상), 입수면기의 환각, 수면 마비 (가위눌림) 등 네 가지의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는 수면 장애의 일종이다. 기면증의 증상은 청소년기에 처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심한 졸음으로 학업에 장애를 초래하며, 운전자의 사고 위험을 높인다. 원인 기면증은 흔히 청소년기 또는 초기 성년기에 발병한다. 대부분 30세 이전에 발병한다고 한다. 중추신경계 내의 하이포크레틴 전달 이상이 병의 원인과 관련된다고 추정한다. 유전적 요인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 탈력 발작, 낮 시간대의 졸음 (수면 발작, sleep attack), 입수면기의 환각, 수면 마비 등 .. 2021. 12. 8.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