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ignal Processing

코덱 (Codec)

by goatlab 2023. 10. 25.
728x90
반응형
SMALL

코덱 (Codec)

 

 

코덱 (codec)은 부호기 (coder)와 복호기 (decoder)의 합성어이다. 이는 raw data의 용량을 줄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현재 신호의 주변 정보를 활용해 예측 신호를 만들고 원본과 예측 신호간의 잔차 신호를 변환한 이후에 양자화와 부호화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압축해 스토리니나 네트워크 전송 비용을 절약하는 기술이다. 압축된 데이터는 디코더를 통해 다시 raw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인코딩 비압축의 영상/음성을 규약에 의하여 해석 가능한 형태로 재기록
디코딩 인코딩되어있는 영상/음성을 원 모습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해석

 

무손실 압축 (Lossless) 오디오 코덱

 

WAV
(Waveform Audio Format)
  • 무압축 PCM (펄스 부호 변조) 방식
  • 용량이 크지만 CD 음질 그대로 유지
FLAC
(Free Lossless Audio Codec)
  • 원본 음질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 줄임
  • 오디오 애호가 및 스튜디오에서 선호
ALAC
(Apple Lossless Audio Codec)
  • 애플이 개발한 무손실 압축 포맷
  • iTunes 및 Apple Music에서 사용

 

 

 

 

 

손실 압축 (Lossy) 오디오 코덱

 

MP3
(MPEG-1 Audio Layer 3)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디오 포맷
  • 압축률에 따라 음질 차이가 있음 (128kbps, 320kbps 등)
AAC
(Advanced Audio Codec)
  • MP3보다 뛰어난 압축 효율 (더 낮은 비트레이트에서도 음질 유지)
  • Apple Music, YouTube, iTunes에서 사용
OGG
(Ogg Vorbis)
  • 오픈소스 코덱으로 MP3보다 고음질
  • Spotify 등 일부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용
Opus
  • 음성 및 음악 모두에 적합한 저지연 코덱
  • VoIP(음성 통화), Discord, WebRTC 등에 사용
WMA
(Windows Media Audio)
  •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포맷
  • Windows 환경에서 주로 사용됨

 

 

728x90
반응형
LIST

'Signal Proces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l Spectrogram  (0) 2023.09.13
Welch's Method  (0) 2023.08.23
[Signal Processing] 이동 평균 필터 (Moving average filter)  (0) 2023.07.06
Wavelet 변환  (0) 2022.04.19
Use of AR Models to Estimate Spectra  (0) 2022.04.13